티스토리 뷰
비고츠키의 예술심리
예술방법론 문제
제 1장 예술에서의 심리학적 방법
분트- 사회적 창의성의 기원을 확립했는데 개인의 창의성에서 추동될 수 밖에 없다고 하였다.
가우젠수테인- 예술은 형식이기 때문에 예술사회학은 형식의 사회학이기도 할때에만 정의 될 수있다. 예술사회학은 형식의 사회학이기 때문에 적절한 의미에서 예술 사회학이 아니다.
예술사회학은 형태의 사회학이 될 수 있다.
들로크로아의 혁명적 그림은 7월 혁명을 시험히고 있어 연구의 대상이 일반심리학이지 예술심리학이 아니다.
예술심리학의 모든 연구는 심리적 예술의 실체를 명확하게 밝히는 것이 필수이다.
Ⅱ비평
2장 인식으로서의 예술
각 세대와 각 세대의 독자는 그들 자신만의 햄릿을 가지고 있다.
제 3장 기법으로서의 예술
예술의 심리학적 연구를 해나갈 때 이중성을 피하고자 하는 열망은 진실과 거짓속에서 아직 다루어지지 않은 사실과 지식을 왜곡한다.
제 4장 예술과 심리분석
우리가 의식할 때 잠재의식, 또는 무의식은 중단된다.
예술분야에서 감추어졌던 욕망은 예술적 형태에서의 즐거움과 기쁨분야에서 만족스럽게 성취된다는 이론의 취약점은 예술형식에 대한 정의이다.
잠재의식으로서의 예술은 문제이다. 잠재의식에 대한 사회적 해결책으로서의 예술은 그 가능성이 있다.
Ⅲ미적 반응에 대한 분석
제 5장 우화 분석론
우화의 구성요소중 불가능과 대조의 요소를 보여주어야 한다.
우화는 문학적인 가면을 쓰고 이야기 한다.
5장에서 인상적인 이야기는 어미 원숭이가 새끼 두 마리를 낳았는데 한 마리는 사랑하고 한 마리는 미워하는 새끼였다. 사랑하는 새끼는 사랑하여 질식시켜 죽이게 되고 미워하는 새끼는 젖을 먹고 건강하게 자란다는 이야기이다. 과잉보호에 대한 이야기이다.
제 6장 옅은 독약의 함성
미묘한 독이 크릴로프 시의 본질이 될 가능성이 크며 서정시, 서사시, 드라마의 씨앗을 포함하고 있으며 시적 영감의 힘은 우리로 하여금 그이야기에 감성적으로 반응하게 한다.
대조의 감각과 감정에 의한 모순의 충돌과 해소가 우화에 대한 우리으 심리적 반능의 본질이라는 것을 발견하게 한다.
많은 우화를 이야기 하는데 분명 아는 내용이고 교훈도 아는데 이리저리 어렵게 풀어 우화를 더 어렵게 파고 드는 느낌이다. 해석이 필요한 건가? 일반 사람과 독자는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느끼는데 글을 읽다보면 어려워진다.
제 7장 부닌의 가벼운 숨결
제 8장 덴마크 왕자 햄릿의 비극
비극에서 아주 심오하고 심각한 것에 의해서 재배치되는데 으리가 비극에서 주인공의 눈을 통해 볼뿐만 아니라 눈을 돌려 우리 자신의 눈을 통해서 주인공을 바라보기 때문이다.
Ⅳ예술심리학
제 9장 카타르시스로서의 예술
제 10장 예술심리학
제11장 예술과 삶
좀 기대하며 읽었는데 예술심리학의 시초, 고전일지 모르겠으나 예시들이 오래전 사람들과 작품이라 이해하기가 조금 어려웠다.
- Total
- Today
- Yesterday